안녕하세요 :)
올해 결혼을 앞둔 예비신부예요!
결혼을 준비하면서 가장 많이 찾아봤던 게 바로
신혼부부 통장합치기, 돈관리 어떻게 하지? 였어요.
"연봉 차이 나면 어떻게 해?"
"통장 합치는 게 맞는 걸까?"
"용돈은 어떻게 나눠야 해?"
이런 고민, 저도 엄청 했고, 정말 많은 검색을 했어요.
그래서 저와 예비신랑이 실제로 했던 방식과 느낀 점들을 공유해보려고 해요.
실제 경험에서 우러나온 신혼 재무설계 이야기, 지금 시작해볼게요!
👫 연봉, 자산, 부채까지 솔직하게 다 공개했어요
가장 먼저 한 건 돈에 대한 모든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었어요.
서로의 연봉, 자산 현황, 대출이나 학자금 부채까지 정말 다 오픈했죠.
이걸 하면서 서로에 대한 신뢰가 커졌고,
“이제 진짜 같이 살아가는구나” 라는 느낌이 강하게 들었어요.
물론 쉽진 않았어요.
내 돈 사정이 그대로 드러나니까 쬐끔 민망하기도 하고,
혹시나 평가받는 건 아닐까 싶어 걱정도 있었지만…
결과적으로는 이 대화가 가장 중요했고, 우리 돈관리의 시작이었어요.
🗓 1월 1일, 1년치 예산을 먼저 짰어요
우린 통장 합치기를 하자마자 1년 예산 계획부터 세웠어요.
- 양가 부모님 생신, 결혼기념일, 명절 등 가족 이벤트 먼저 체크
- 지인 결혼식, 돌잔치, 생일 등도 미리 캘린더에 기록
- 전년도 관리비, 도시가스비, 통신비 등의 고정지출 평균을 계산
- 월별 예비비로 얼마를 빼둘지 설정
이렇게 큰 그림을 먼저 그려두니까
변수가 생겨도 당황하지 않고 계획 안에서 소비할 수 있어서
진짜 편하더라구요!
💳 카카오뱅크 모임통장으로 통장쪼개기 했어요
요즘은 부부 공동생활비 관리에 모임통장이 진짜 최고예요.
- 생활비 통장 (장보기, 공과금 등)
- 데이트·외식비 통장
- 여행 통장
- 비상금·보험금 통장
이렇게 목적별로 통장을 나눠서 관리하고 있어요.
각자 용돈도 정해놓고, 배달 음식이나 충동구매는 용돈 안에서 해결!
그리고 서로 모임통장에서 입출금 내역이 공유되니까
믿고 맡길 수 있어서 스트레스도 줄었고, 불필요한 오해도 없더라구요.
💡 예상 결산까지 해보는 이유
단순히 월별 예산만 짜는 게 아니라
그 해 12월 31일 기준으로 자산이 어떻게 남을지도 미리 계산해봤어요.
"이렇게 지출하고 저축하면, 연말에는 얼마가 남겠다!"
라는 걸 미리 시뮬레이션해보는 거예요.
이걸 하니까 변수나 돌발 상황이 생겨도
"이건 써도 괜찮다"
"이건 무리다"
라는 판단이 딱 서요.
🌷 예비부부들에게 전하고 싶은 진짜 이야기
돈 얘기 꺼내는 거, 처음엔 솔직히 쫌 어색했어요.
하지만 꺼내고 나니까 훨씬 더 편하고 든든한 팀이 된 느낌이었어요.
통장합치기, 꼭 해야 되는 건 아니지만
서로를 신뢰하고 함께 목표를 만들어가는 과정으로 보면
우리 부부만의 돈 루틴을 만드는 좋은 계기가 될 수 있어요.
🧾 실전 팁 요약
✔ 연봉, 자산, 부채 먼저 솔직하게 공유하기
✔ 연간 예산표 작성 + 가족 및 지인 이벤트 체크
✔ 카카오뱅크 모임통장 활용해서 통장쪼개기
✔ 예상 결산까지 작성해서 소비 기준 만들기
✔ 배달·외식은 각자의 용돈에서 해결!
'♡ Wedding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웨딩홀 계약 후기: 순천 파티움하우스, 웨딩박람회 비교 후 선택한 이유 (0) | 2025.02.26 |
---|---|
결혼 날짜, 어떻게 정할까? 인터넷으로 택일 확인한 후기 (0) | 2025.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