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퇴직급여? 퇴직급여충당부채? 이게 도대체 뭐야?
회계 실무를 하다 보면 퇴직급여랑 퇴직급여충당부채가 자주 등장하는데,
"둘이 뭐가 다른 거야?" "어떻게 설정하는 거지?" 고민해본 적 있을걸?
사수가 없어도! 인수인계를 못 받아도!
이 글 하나만 보면 실무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쉽게 정리해봄! ✍️
✅ 퇴직급여란?
✔️ 직원이 퇴사할 때 지급하는 돈!
✔️ 법적으로 1년 이상 근무한 직원이 퇴사할 때 받을 수 있음
✔️ 퇴직금 계산 공식:
👉 [(1일 평균임금) × (30일)] × (근속연수)
💡 예시로 쉽게 이해하기!
5년 동안 근무한 직원의 1일 평균임금이 20만원이면?
📌 200,000원 × 30일 × 5년 = 30,000,000원(퇴직급여)
✅ 퇴직급여충당부채란?
💡 퇴직금은 퇴사할 때 지급하지만, 기업 입장에서는
"이 사람이 나중에 퇴사하면 퇴직금을 줘야겠네?" 하고
미리 비용을 쌓아두는 개념!
✔️ 퇴직급여충당부채는 미래에 지급할 퇴직금을 미리 반영하는 회계 처리
✔️ 매년 퇴직금이 발생할 거라 예상하고 부채로 설정하는 과정
✅ 퇴직급여 vs 퇴직급여충당부채 차이점 한눈에 정리!
개념 | 실제 지급하는 퇴직금 | 미래 지급할 퇴직금을 미리 반영 |
발생 시점 | 직원이 퇴사할 때 | 회계 결산 때마다 설정 |
사용 계정과목 | 퇴직급여 | 퇴직급여충당부채 |
처리 방법 | 퇴직할 때 지급 | 매년 예상 금액을 반영 |
📌 실무에서 회계 프로그램(더존) 설정하는 방법!
📌 [더존 기준 설정법]
✅ STEP 1: 회계 프로그램 실행 (더존, K-IFRS 등)
✅ STEP 2: "급여관리" → "퇴직급여 설정" 메뉴 클릭
✅ STEP 3: 퇴직금 예상액 자동 계산 후 충당부채 계정에 입력
✅ STEP 4: 매년 회계 결산 때 충당부채 조정!
💡 이렇게 설정하면, 매년 퇴직금 비용을 자동 반영할 수 있음!
📌 퇴직급여 & 퇴직급여충당부채 분개 예시
1️⃣ 퇴직급여 지급할 때 (직원 퇴사 시점)
✅ 직원이 실제 퇴사하면서 퇴직금을 지급하면 현금이 나감!
2️⃣ 매년 퇴직급여충당부채 설정할 때 (회계 결산 시점)
✅ 아직 퇴직한 건 아니지만, 나중을 대비해서 비용을 미리 반영하는 과정!
📌 사람들이 많이 궁금해하는 Q&A
Q1. 퇴직급여충당부채를 설정 안 하면 어떻게 돼요?
🚨 퇴직급여 예상액을 미리 반영하지 않으면,
✔️ 결산 때 퇴직금 비용이 갑자기 크게 반영됨
✔️ 재무제표상 부채 관리가 제대로 안 됨
즉, 미리 반영해두는 게 재무관리에도 도움 됨!
Q2. 퇴직연금(DB형, DC형)이랑 퇴직급여충당부채랑 뭐가 다름?
✔️ DB형(확정급여형): 회사가 퇴직금을 책임지고 적립
✔️ DC형(확정기여형): 직원 개인 계좌에 퇴직금 적립
📌 퇴직연금을 운영하는 기업은 퇴직급여충당부채를 따로 설정할 필요 없음!
✔️ 퇴직급여 = 실제 퇴직 시 지급하는 돈
✔️ 퇴직급여충당부채 = 미래에 줄 퇴직금을 미리 반영
✔️ 회계 프로그램에서 설정을 잘해두면 결산할 때 편리함
이제 퇴직급여 & 퇴직급여충당부채 완벽 이해했지?
실무에서 바로 적용해보고, 궁금한 거 있으면 댓글 남겨줘~ 😊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세사업장 부가세 신고 필수 체크리스트! 📊 매입세액 불공처리부터 부가세 신고까지 완벽 정리✨ (0) | 2025.03.25 |
---|---|
연말정산 준비, 실수 없이 정확히 끝내는 법! 서류 체크부터 신고까지 (0) | 2025.03.20 |
당기감가충당금? 원당기감가충당금? 이거 보면 바로 이해됨! (ft. 회계 신입 필독🔥) (0) | 2025.03.20 |
원천세 신고 초보자를 위한 꿀팁과 실수 없이 신고하는 방법 (0) | 2025.03.20 |
건설업 4대보험 신고, 초보도 쉽게 할 수 있어! (0) | 202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