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회계

당기감가충당금? 원당기감가충당금? 이거 보면 바로 이해됨! (ft. 회계 신입 필독🔥)

by 호두엄마 2025. 3. 20.

 

 

 

🙋‍♀️ 당기감가충당금 vs 원당기감가충당금, 뭐가 다른 거야?

회계 처음 시작하면 당기감가충당금이랑 원당기감가충당금,

이게 뭐가 다른 건지 헷갈릴 수밖에 없음! 😵‍💫
그런데 막상 개념만 제대로 이해하면 별거 아님!

오늘 이 글 보고 바로 실무에 적용해보자! 💡

 

 

 

 

 


 

📌 당기감가충당금이 뭐야?

 

✔️ 개념부터 이해하기

👉 당기감가충당금은 올해(당기)에 발생한 감가상각을 반영하는 금액이야.
쉽게 말하면, 올해 내가 사용한 만큼 자산 가치가 줄어든 걸 반영하는 거지!

✔️ 예시로 이해해보자!

100만 원짜리 컴퓨터를 샀는데, 감가상각비를 5년 동안 나눠서 적용한다고 해보자.
그럼 1년 동안 감가상각되는 금액은 20만 원!
이 20만 원을 당기감가충당금으로 반영하는 거야.

✔️ 분개는 이렇게 하면 됨!

차변: 감가상각비 200,000원 대변: 당기감가충당금 200,000원

💡 감가상각비는 비용 계정, 당기감가충당금은 차감계정(감가상각 누계액)이야!
👉 즉, 자산에서 빠지는 금액을 별도로 기록하는 거라고 보면 됨!


📌 원당기감가충당금이 뭐야?

✔️ 개념부터 이해하기

👉 원당기감가충당금은 자산을 구입할 때부터 전체 감가상각 비용을 고려해서 설정하는 거야.
이게 무슨 말이냐면, 자산을 몇 년 동안 사용할지를 미리 계산해서 감가상각을 반영하는 거지!

✔️ 예시로 이해해보자!

마찬가지로 100만 원짜리 컴퓨터를 샀다고 해보자.
이 컴퓨터의 사용기간이 5년이라면, 매년 20만 원씩 감가상각한다고 했었지?
근데 이번엔 처음부터 원당기감가충당금을 설정하는 거야!

✔️ 분개는 이렇게 하면 됨!

차변: 감가상각비 200,000원 대변: 원당기감가충당금 200,000원

💡 당기감가충당금이랑 분개 방식은 같지만, 개념이 다름!
👉 원당기는 처음부터 전 기간을 고려해서 충당금 설정!


📌 둘이 뭐가 다른 거야? (정리 끝!)

 

설정 시점 올해 발생한 감가상각 반영 자산을 처음 구입할 때부터 감가상각 고려
적용 기간 해당 연도(당기)만! 전체 사용 기간 동안 설정!
주요 사용처 일반적인 감가상각비 반영 장기적으로 감가상각을 계획하는 경우

📢 결론:

  • 당기감가충당금은 1년 단위 감가상각
  • 원당기감가충당금은 자산 구입할 때부터 전체 감가상각 설정

📌 회계 전산에서 어디서 설정해?

📌 [더존 기준 설정 방법]
1️⃣ 회계 프로그램(더존, K-IFRS 등) 접속
2️⃣ "자산관리" → "감가상각 설정" 메뉴 들어가기
3️⃣ 감가상각 적용할 자산 선택 후, 감가상각비 계산 방법 설정
4️⃣ "당기감가충당금" 또는 "원당기감가충당금" 입력

💡 더존이나 회계 프로그램에서 자동으로 감가상각 계산이 가능하니까, 매년 따로 분개할 필요 없이 설정만 제대로 해두면 끝! 👍


 

당기감가충당금, 원당기감가충당금 처음 보면 헷갈릴 수도 있지만,
✔️ 1년 치 감가상각이면 당기감가충당금
✔️ 처음부터 전체 사용 기간 감가상각이면 원당기감가충당금
이렇게 정리하면 끝! ✌️

 

실무에서 회계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도,
"감가상각 설정" 메뉴만 잘 찾아서 입력하면 자동으로 계산되니까 걱정할 필요 없음! 😎

혹시 궁금한 거 있으면 댓글 달아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