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회계

건설업 자진신고 현장 일용직 4대보험 신고 + 하도급 정리

by 호두엄마 2025. 3. 18.

 

 

 

건설업에서 일용직을 쓰면 4대보험 신고는 필수야! 근데 정기 신고를 놓쳤거나,

고용노동부 점검 전에 급하게 신고해야 하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지? 그럴 땐 ‘자진신고’로 해결하면 돼.

 

그리고 하도급 공사에서는 4대보험 부담 주체가 누구인지 확실히 알아둬야 실무에서 문제없이 처리할 수 있어.

이번 글에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자진신고 방법과 하도급 관련 내용까지 깔끔하게 정리해줄게! 😉

 

 

 

 

 

 

1. 자진신고가 뭐야?

자진신고는 일용직 근로자의 4대보험 신고를 늦게라도 하는 방법이야.

✅ 정기 신고를 못 했거나, 고용노동부 점검이 예상될 때 필요해!

✅ 건설 현장은 현장 단위로 4대보험 가입이 이루어지니까, 신규 현장마다 사업장 가입 & 근로자 신고 필수!

 


2. 신고해야 할 4대보험 항목

고용보험: 실업급여 지급을 위해 필수!

산재보험: 일하다 다쳤을 때 보상을 위해 필수!

국민연금: 월 8일 이상 근무 시 선택 가능

건강보험: 월 8일 이상 근무 시 선택 가능

 

📌 이건 꼭 알아둬!

  • 월 8일 미만이면 고용·산재보험만 신고!
  • 월 8일 이상이면 국민연금·건강보험도 추가 가능!

 


 

3. 자진신고 절차 (이대로 하면 OK!)

4대보험 EDI 또는 공단 방문 접수

  • 온라인 신고: 4대보험 EDI (www.4insure.or.kr) → 사업자 인증서 로그인 → 사업장 개설 & 근로자 신고
  • 오프라인 신고: 4대보험 공단 방문 → 증빙서류 제출 → 근로자 명단 제출 → 보험료 납부

필요 서류

✔ 사업장 가입 신고서

✔ 일용직 근로자 신고서

✔ 공사 계약서, 도급 계약서 등 현장 서류

✔ 근로일수 & 급여대장

 

📌 실무 팁!

  • 현장별 사업장 코드 꼭 확인!
  • 근로자 성명, 주민번호, 근무일수, 임금 입력 필수!

 


 

4. 하도급(원도급·하수급인) 구조 정리!

건설업은 하도급 계약이 많아! 원도급사랑 하수급사 역할 구분을 확실히 해야 해.

원도급사(도급인): 건설 공사 수주한 업체

하수급사(수급인): 원도급사로부터 일부 공사 하청받은 업체

 

📌 예시

  • A건설이 10억짜리 공사 수주 → A는 원도급사
  • A가 일부 공사를 B업체에 하청 → B는 하수급사

 


 

5. 하도급 공사 시 4대보험 신고 & 보험료 부담은?

원도급사가 고용한 근로자 → 원도급사가 4대보험 신고 & 부담

하수급사가 고용한 근로자 → 하수급사가 4대보험 신고 & 부담

 

4대보험료 계산법

  • 고용보험 = (일당 × 근로일수) × 보험료율
  • 산재보험 = (일당 × 근로일수) × 업종별 산재보험료율
  • 국민연금·건강보험 = (월소득 × 9%) ÷ 2 (사업주·근로자 반반 부담)

📌 중요!

  • 원도급사는 하수급사 근로자의 4대보험을 부담할 필요 없음!
  • 하수급사가 직접 신고 & 납부 진행해야 함!

💡 즉, 하수급사가 고용한 근로자는 하수급사가 신고하는 게 원칙!

 

 


 

6. 실무에서 자주 헷갈리는 질문 정리!

🚨 1) 원도급사가 하수급사 근로자도 4대보험 신고해야 해? → 아니! 하수급사가 따로 해야 해.

🚨 2) 하도급 공사에서 산재보험은 어떻게 적용돼? → 원도급사 & 하수급사는 각자 따로 가입해야 해!

🚨 3) 공사비에 4대보험료 포함돼? → 계약서에서 ‘4대보험료 포함’ 여부를 확인해야 해.

🚨 4) 일용직 신고 기한 놓치면? → 자진신고로 가능하지만, 신고 지연 시 과태료 나올 수도 있어!

 

 


 

7. 자진신고 후 보험료 납부 방법

보험료 납부 방법

  • 온라인: 4대보험 EDI 사이트에서 납부 가능!
  • 오프라인: 공단 방문 납부!

미납 시 불이익

  • 가산세 부과 (최대 10%)
  • 고용노동부 점검 대상 포함 가능

📌 신고는 미루지 말고 바로바로 하자!

 

 

 

✔ 원도급사 vs 하수급사 4대보험 신고 주체 확실히 구분!

✔ 현장별 사업장 코드 정확히 확인하고 신고 진행!

✔ 신고 안 하면 과태료 및 가산세 나올 수 있음!

 

💡 글이 도움 됐다면 공감 & 댓글 부탁해! 😊

💡 궁금한 점 있으면 편하게 질문 남겨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