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를 하다 보면 선급금, 선수금, 선급비용이 헷갈리는 경우가 많아.
비슷해 보이지만 의미가 다르니까, 오늘은 진짜 쉽게 설명해볼게!
분개 예시도 넣었으니까 끝까지 읽어봐! 😉
1. 선급금(Prepaid Payment)이란? 💰
선급금은 우리가 물건이나 서비스를 받기 전에 미리 돈을 지급한 경우야.
쉽게 말하면, 돈부터 내고 나중에 받을 게 남아있는 상태라고 보면 돼.
📌 예시:
- 회사에서 새 복사기를 구매하면서 계약금 200만 원을 먼저 지급 → "선급금" 처리
- 3개월 뒤 사용할 광고비를 미리 납부 → "선급금" 처리
✅ 회계처리 (분개 예시)
- 복사기 계약금을 지급한 경우
- 차변: 선급금 2,000,000원 / 대변: 보통예금 2,000,000원
- 복사기를 실제로 받을 때 (선급금 정리)
- 차변: 기계장치 2,000,000원 / 대변: 선급금 2,000,000원
2. 선수금(Advance Received)이란? 💵
선수금은 우리가 물건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에 고객으로부터 미리 돈을 받은 경우야.
쉽게 말해, 돈부터 받고 나중에 줄 게 남아있는 상태지.
📌 예시:
- 웨딩 플래너가 계약하면서 300만 원을 선금 받음 → "선수금" 처리
- 학원이 학생들한테 1년 치 수업료를 미리 받음 → "선수금" 처리
✅ 회계처리 (분개 예시)
- 고객이 수업료를 선결제한 경우
- 차변: 보통예금 3,000,000원 / 대변: 선수금 3,000,000원
- 한 달치 수업을 제공할 때 (수익 인식)
- 차변: 선수금 250,000원 / 대변: 매출 250,000원
3. 선급비용(Prepaid Expense)이란? 📑
선급비용은 기업이 미리 지급했지만, 아직 비용으로 처리되지 않은 금액을 뜻해.
즉, 여러 달에 걸쳐 사용할 서비스나 비용을 미리 지급한 경우라고 보면 돼.
📌 예시:
- 회사에서 1년 치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비용을 한꺼번에 지급 → "선급비용" 처리
- 사무실 월세를 6개월 치 한 번에 냈음 → "선급비용" 처리
✅ 회계처리 (분개 예시)
- 1년 치 소프트웨어 비용 선결제한 경우
- 차변: 선급비용 1,200,000원 / 대변: 보통예금 1,200,000원
- 매월 비용으로 나누어 반영할 때
- 차변: 소프트웨어 사용료 100,000원 / 대변: 선급비용 100,000원
4. 선급금, 선수금, 선급비용 비교 정리! 📌
선급금 | 미리 지급 | 자산 | 복사기 계약금, 광고비 선납 |
선수금 | 미리 받음 | 부채 | 웨딩 계약금, 학원비 선결제 |
선급비용 | 미리 지급 | 비용(점진적 인식) |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사무실 임대료 선납 |
5. 쉽게 구분하는 팁! 🤔
✅ 선급금 vs 선수금
- "내가 먼저 돈을 주면?" → 선급금 (자산)
- "고객이 먼저 돈을 주면?" → 선수금 (부채)
✅ 선급금 vs 선급비용
- "나중에 받을 자산이면?" → 선급금
- "여러 달 동안 나눠서 쓸 비용이면?" → 선급비용
이제 선급금, 선수금, 선급비용이 확실히 구분되지?
실무에서 분개할 때 더 이상 헷갈리지 말고 딱딱 맞춰서 적용해 보자! 😎
✅ 핵심 요약
선급금: 물건/서비스를 받기 전에 미리 지급 (자산)
선수금: 물건/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에 미리 받음 (부채)
선급비용: 여러 달 동안 사용할 비용을 미리 지급 (비용으로 점진적 인식)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금계산서 발급/수취 시 유의사항과 수정세금계산서 발급 방법 쉽게 알아보자! (0) | 2025.03.19 |
---|---|
기부금과 후원금의 차이, 영수증 처리 및 분개, 전자기부금영수증의 모든 것! (0) | 2025.03.19 |
건설업 자진신고 현장 일용직 4대보험 신고 + 하도급 정리 (0) | 2025.03.18 |
📌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는 외부감사 준비법] 갓 입사한 초보자가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팁 (0) | 2025.03.18 |
📌 [회계 기초] 대손상각비와 대손충당금 쉽게 이해하기 (0) | 202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