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회계

건설업 4대보험 신고, 초보도 쉽게 할 수 있어!

by 호두엄마 2025. 3. 19.

 

 

 

건설업 경리로 일하다 보면 4대보험 신고 때문에 머리가 아플 때가 많지?
특히 업무 인수인계도 없이 혼자 맡게 되면? 🤯
뭘 해야 하는지 감도 안 올 거야.

 

그래서 오늘은 호두엄마가 완전 초보도 4대보험 신고를 쉽게 할 수 있도록
4대보험 개념부터
건설업에서만 적용되는 특별한 규칙
신고 방법 & 주의할 점
까지 필수 정보만 정리했어!

 

이 글을 보면 "아, 이제 어떻게 해야 할지 알겠다!" 싶을 거야. 😊

 

 

 

 

 

📌 1. 4대보험, 도대체 뭘까?

회사가 직원을 고용하면 무조건 가입해야 하는 사회보험이야.
보통 4대보험이라고 부르지만, 정확한 명칭은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이야!

 

국민연금: 나중에 연금 받을 수 있도록 적립하는 보험

건강보험: 병원 진료비 할인받는 보험
고용보험: 실업급여 등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보험
산재보험: 일하다 다쳤을 때 치료비를 보장하는 보험

 

🚨 건설업에서는 이게 좀 달라!
일반 회사는 사업장 단위로 4대보험을 적용하는데,
건설업은 현장별로 적용 여부가 달라져.


📌 2. 건설업 4대보험 신고, 일반 회사랑 뭐가 다를까?

일반 회사: 사업장을 등록하면 직원 수에 맞춰 4대보험 가입하면 끝!
건설업: 현장마다 4대보험 가입 여부가 다름!

 

✅ 4대보험 적용 여부 체크하는 법

건설업에서는 공사금액(도급액)이 1억 원 이상인지 아닌지가 중요해.

공사금액4대보험 가입 여부

 

1억 원 이상 ✅ 4대보험 전부 가입!
1억 원 미만 ❌ 국민연금·건강보험 가입 X (고용·산재보험만 가입)

🚨 주의할 점!
1억 원 미만이어도 직원이 있으면 고용·산재보험은 가입해야 해!
일용직 근로자도 고용·산재보험 신고 대상이야.


📌 3. 건설업 4대보험 신고, 이렇게 하면 돼!

"그래서, 대체 신고는 어떻게 해야 할까?"

👉 차근차근 따라 하면 돼!

✅ (1) 먼저, 현장별 4대보험 적용 여부 체크!

공사금액이 1억 원 이상이면 4대보험 적용 사업장이야.
✔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전부 가입해야 해.
1억 원 미만이면 고용·산재보험만 가입하면 돼!

✅ (2) 4대보험 신고하기 (각 기관별로 따로 신고해야 해)

국민연금 & 건강보험: 국민건강보험공단 신고
고용보험 & 산재보험: 근로복지공단 신고

📌 신고 방법

  • 온라인 신고: 4대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https://www.4insure.or.kr)
  • 방문 접수: 각 기관 방문 후 서류 제출

🚨 기한 엄수!
근로자 고용 후 14일 이내에 신고해야 해! (늦으면 과태료 부과)
일용직도 근로 내용에 따라 신고해야 해.


📌 4. 건설업 4대보험 신고할 때 초보들이 자주 하는 실수

🚨 1) 현장별 4대보험 적용 여부 체크 안 함
✔ 무조건 4대보험 신고하는 게 아니라, 공사금액 기준 먼저 확인해야 해!
✔ 1억 원 이상이면 4대보험 필수 가입, 1억 원 미만이면 고용·산재보험만 가입!

 

🚨 2) 신고 기한 놓침
근로자 고용 후 14일 이내 신고해야 해!
✔ 기한을 넘기면 과태료 + 추가 부담금이 나올 수 있어.

 

🚨 3) 일용직 근로자 신고 누락
건설업 일용직도 고용보험·산재보험 신고 대상이야!
국민연금·건강보험은 월 8일 이상 근무하면 가입해야 해.


📌 5. 건설업 4대보험 신고, 이것만 기억하면 돼!

✅ 공사금액 1억 원 이상이면 4대보험 필수 가입!
근로자 고용 후 14일 이내에 신고해야 해!
일용직 근로자도 고용·산재보험 신고 대상이야.

 

 

 

 

처음엔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하나씩 차근차근 따라 하면 금방 익숙해질 거야!
더 궁금한 게 있다면 댓글로 남겨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