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오늘은 회계 실무에서 자주 마주치는
미수금 상계처리에 대해 정리해볼게!
분개도 헷갈리고, 자주 틀리는 부분도 많아서
초보 경리들이 실수하기 딱 좋은 파트지.
하나씩 예시랑 꿀팁으로 설명해줄게 😊
🧐 미수금? 미지급금? 외상매출금? 뭐가 달라?
기본부터 짚고 가자!
- 미수금: 상품 외 거래에서 받을 돈
→ 예: 임직원에게 빌려준 돈, 임대보증금, 환급금 등 - 미지급금: 상품 외 거래에서 줘야 할 돈
→ 예: 사무용품 외상 구입, 법인카드 선결제 등 - 외상매출금: 상품 판매 후 아직 돈 못 받은 거래처 외상대금
- 외상매입금: 상품 구입 후 아직 돈 안 준 거래처 외상대금
💡 외상은 ‘상품 거래’일 때 쓰고,
미수금/미지급금은 비상품 거래일 때 쓴다!
💡 그럼 미수금 상계처리는 언제 써?
예를 들어볼게.
✅ 예시 1: 직원 출장비 현금 지급했는데, 나중에 개인카드로 회사 물건 구매함
- 출장비: 회사가 직원에게 줬음 → 미수금
- 회사 물건 구매: 직원이 본인 카드로 결제 → 회사가 돈 줘야 함 → 미지급금
👉 같은 사람 간의 거래니까 상계 가능!
📒 분개 예시
출장비 지급 시:
차) 미수금 – 홍길동 / 대) 보통예금
물건 구매 후, 상계처리 시:
차) 소모품비
대) 미수금 – 홍길동
(미지급금은 따로 안 쓰고, 상계로 끝냄)
✅ 예시 2: 거래처에 줘야 할 돈 대신 받을 돈에서 깎음
- A사에서 받을 돈: 미수금
- A사에 줘야 할 돈: 미지급금
📒 분개 예시
차) 미지급금 – A사
대) 미수금 – A사
👉 같은 거래처 명의로 된 거래는 상계 가능!
단, 상계증빙(메일, 계약서, 문자 등) 남겨야 나중에 문제 안 생겨~
🤯 자주 하는 실수 Top 3
❌ 1. 차변/대변 헷갈림
미수금은 받을 돈 → 차변
미지급금은 줄 돈 → 대변
상계할 땐 반대로 써야 돼!
받을 돈 줄이니까 대변, 줄 돈 줄이니까 차변!
❌ 2. 상계조건 안 맞는데 억지로 처리
- 서로 다른 거래처면 상계 안 됨
- 금액 일치 안 하면 차액은 지급 or 수령 처리 필요
- 증빙자료 없으면 세무조사 때 부인될 수 있음 😱
❌ 3. 미수금 자체를 잘못 사용하는 경우
상품매출인데 미수금으로 처리하면 안 돼!
이건 외상매출금이 맞는거야~
💬 실무 Q&A
Q. 상계처리 후 증빙은 꼭 필요한가요?
→ 웬만하면 남겨두는 게 좋아.
메일, 문자, 팩스, 대화 녹취 등 거래 당사자 간 합의 확인 자료면 OK!
Q. 상계한 내용은 세무조정이나 법인세 신고에 영향 있어요?
→ 보통은 장부상 처리만 잘 되면 문제 없지만, 매입/매출 간 상계는 조심해야 해.
부가세 누락 생기기 쉬우니까 상계 대신 각각 처리하는 게 더 나을 때도 있음!
✨ 회계 초보 꿀팁 정리
미수금 줄이기 | 미지급금 | 미수금 |
미지급금 줄이기 | 미지급금 | 미수금 |
지급은 안 하고 처리하고 싶을 때 | 상계처리 OK! | 단, 증빙 필수 |
📎 마무리 한줄 요약
“같은 거래처, 같은 금액일 때만 상계처리 가능! 증빙 꼭 챙기자!”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합계잔액시산표? 이거 제대로 못 보면 진짜 큰일남! (0) | 2025.04.12 |
---|---|
국고보조금으로 건물 지을 때 분개 어떻게 해야 돼? (건설중인자산 완전 이해하기) (0) | 2025.04.12 |
기부금 영수증 처리 및 분개 방법 💸 - 초보 회계 담당자를 위한 실무 가이드 📚 (0) | 2025.03.28 |
전자기부금영수증 처리 방법 및 분개 가이드 (0) | 2025.03.28 |
📢 법정의무교육, 휴직·중도입사자도 꼭 들어야 할까? (2025년 필수 체크!) (0) | 2025.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