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회계40

국고보조금으로 건물 지을 때 분개 어떻게 해야 돼? (건설중인자산 완전 이해하기) 요즘 회계팀 신입이나 경리 업무 막 시작한 사람들한테 자주 물어보는 주제 중 하나가바로 “국고보조금 받은 걸로 건물 지을 때 분개 어떻게 해요?” 이거야. 솔직히 처음엔 나도 “건물을 짓는다 → 자산이다!” 정도까지만 생각하고 넘겼었는데,막상 분개하려니까 ‘건설중인자산’, ‘국고보조금수익’, ‘보통예금’ 막 섞이니까 더 헷갈리더라고. 그래서 오늘은 아주 깔끔하게!국고보조금 받고 건물 짓는 전 과정,실무에서의 분개 예시,그리고 건물이 완공되었을 때 마무리 처리까지 쫙 정리해줄게.      1️⃣ 국고보조금으로 건물을 짓는다는 건?정부나 지자체에서 우리 회사에 “건물 지으라고” 돈을 지원해주는 거야.이 돈은 그냥 ‘수익’이 아니라, 조건부로 받은 지원금이기 때문에바로 수익처리하거나 자산으로 인식하면 안 돼... 2025. 4. 12.
💸 미수금 상계처리 실무, 헷갈린다면 이 글 하나로 정리 끝! 안녕~오늘은 회계 실무에서 자주 마주치는미수금 상계처리에 대해 정리해볼게!분개도 헷갈리고, 자주 틀리는 부분도 많아서초보 경리들이 실수하기 딱 좋은 파트지.하나씩 예시랑 꿀팁으로 설명해줄게 😊     🧐 미수금? 미지급금? 외상매출금? 뭐가 달라?기본부터 짚고 가자!미수금: 상품 외 거래에서 받을 돈 → 예: 임직원에게 빌려준 돈, 임대보증금, 환급금 등미지급금: 상품 외 거래에서 줘야 할 돈 → 예: 사무용품 외상 구입, 법인카드 선결제 등외상매출금: 상품 판매 후 아직 돈 못 받은 거래처 외상대금외상매입금: 상품 구입 후 아직 돈 안 준 거래처 외상대금💡 외상은 ‘상품 거래’일 때 쓰고,미수금/미지급금은 비상품 거래일 때 쓴다!💡 그럼 미수금 상계처리는 언제 써?예를 들어볼게.✅ 예시 1: 직.. 2025. 4. 12.
기부금 영수증 처리 및 분개 방법 💸 - 초보 회계 담당자를 위한 실무 가이드 📚 안녕하세요! 😄 오늘은 기부금 영수증을 어떻게 처리하고,분개하는지에 대해 쉽게 알려드릴게요! 기부금 관련 업무는 회계에서 중요한 부분인데,초보자도 따라할 수 있도록호두엄마가 하나하나 차근차근 설명드릴게요! 📝       1. 기부금 영수증 발급 💌기부금 영수증은 기부자에게 발급되는 중요한 서류입니다! 이를 처리할 때는 몇 가지 유의할 점이 있어요. 👀기부금 영수증 발급 방법:1차 확인: 기부자가 기부한 금액이 정확한지 확인해주세요! 🧐2차 확인: 기부자의 이름, 주소, 기부금 금액 등을 확인하고 홈택스나 기부처 시스템에서 발급을 진행합니다. ✅   2. 기부금 영수증 처리 및 분개 💰기부금 영수증을 받은 후, 이를 회계 장부에 어떻게 반영할까요? 🤔 분개 예시:기부금 처리 시:차변: 기부금 .. 2025. 3. 28.
전자기부금영수증 처리 방법 및 분개 가이드 📝 전자기부금영수증이란?전자기부금영수증은 국세청 홈택스를 통해 발급되는 기부금 영수증으로,종이 영수증 없이도 세금 공제를 받을 수 있는 방식이에요.기부 단체가 국세청에 기부 내역을 등록하면, 기부자는 홈택스에서 바로 확인하고 공제 신청을 할 수 있답니다 :)      📌 전자기부금영수증 발급 방법1️⃣ 기부자가 기부금을 송금 💸2️⃣ 기부 단체가 홈택스를 통해 기부금 내역 등록 🏢3️⃣ 국세청 홈택스에서 기부자가 전자기부금영수증 확인 ✅4️⃣ 연말정산 및 종합소득세 신고 시 공제 신청 💰   📊 전자기부금영수증 회계 처리(분개) 예시✅ 기부금 지급 시차변: 기부금 (비용 계정) 100,000원대변: 현금/예금 100,000원 ✅ 세액공제 반영 시차변: 법인세 등 (부채 계정) 15,000원 (.. 2025. 3. 28.
📢 법정의무교육, 휴직·중도입사자도 꼭 들어야 할까? (2025년 필수 체크!) "3월부터 휴직인데, 법정의무교육 안 들어도 되지?""9월 복직인데, 상반기 교육도 들어야 해?""출장이 많아서 교육 못 들었는데 괜찮을까?"이거 회사에서 한 번쯤은 다 고민하는 문제잖아?근데 헷갈리면 안 되는 게, 법정의무교육은 대상별로 다 다르게 적용됨!괜히 교육 안 들었다가 과태료 나오면 회사에서 난리 난다구! 🤯자, 딱 정리해줄게! ✅     📌 1. 휴직자는 법정의무교육 들어야 할까?✅ 3월부터 휴직이면?👉 상반기 산업안전보건교육은 무조건 듣고 가야 함!👉 나머지 개인정보보호교육, 성희롱 예방교육 같은 연 1회 교육은 면제 가능!✅ 9월에 복직하면?👉 하반기 산업안전보건교육 + 퇴직연금교육은 필수!👉 개인정보보호교육, 성희롱 예방교육 같은 건 회사 재량이지만, 대부분 듣는 게 좋음!✅.. 2025. 3. 27.
🚀 매입세액 불공제? 기업 업무추진비(접대비) 세금 처리 완벽 가이드! 💼💰 📢 회사에서 접대비를 썼는데 매입세액 공제 받을 수 있을까?👉🏼 "법인카드로 결제한 영수증이 있는데, 세금계산서를 꼭 받아야 하나요?"👉🏼 "접대비 한도가 있다던데, 얼마까지 가능하지?"👉🏼 "매입세액 불공제 대상이라는데, 대체 무슨 뜻이야?"🤯 처음 접하는 회계 초보라면 헷갈릴 수밖에 없는 '접대비' & '매입세액 불공제' 완벽 정리!이 글을 보면 누구나 접대비 처리 방법을 쉽게 이해하고,부가세 & 법인세 신고 시 유리한 방법까지 배울 수 있어! 🎯       1️⃣ 접대비란? 🍽️👉🏼 회사 업무를 위해 거래처와 식사, 선물, 골프 등을 한 비용!하지만! 모든 접대비가 다 인정되는 건 아님. 😥 ✅ 법적으로 인정되는 접대비 예시✔ 거래처와의 공식적인 식사 (법인카드 사용)✔ 거래.. 2025. 3.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