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리실무3 💳 현금영수증 처리방법 완전정리! 회계 초보도 실수 없이 하는 법 알려줄게 :) 회사 돈 쓰고 현금영수증 받아왔는데,이걸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 몰라서 당황한 적 있어? "법인카드도 아닌데 이거 어떻게 회계에 잡지?""현금으로 썼는데 증빙은 되는 거 맞지?"이런 고민 해본 적 있으면 이 글 끝까지 꼭 읽어봐~! ✅ 현금영수증, 이게 뭔데?현금영수증은 말 그대로 현금으로 결제한 거래에 대한 증빙이야.카드처럼 세금계산서 대신 사용할 수 있고,국세청에 자동으로 잡히는 전자증빙 자료로 인정받을 수 있어.중요한 건, 개인번호(주민등록번호) 말고 사업자번호로 발급받는 것!그래야 부가세 환급도 가능하고, 비용처리도 깔끔하게 돼.✍️ 현금영수증 받을 때 체크할 것들사업자등록번호로 발급받기 (꼭!)결제일자, 금액, 공급가액+부가세 항목 확인업종에 따라 매입세액 공제 가능여부 확인💡 실무 예시.. 2025. 4. 14. 📊 합계잔액시산표? 이거 제대로 못 보면 진짜 큰일남! 안녕~ 오늘은 실무에서 은근히 놓치기 쉬운 합계잔액시산표에 대해서 얘기해볼게!혹시 요거 그냥 숫자 잘 맞네 하고 넘기고 있진 않아?잘못된 잔액, 잘못된 분개... 결국 결산 오류로 이어질 수 있어.그러니까 오늘은 "진짜 실무에서 뭘 봐야 하는지" 알려줄게! 🧾 합계잔액시산표란?말 그대로 전체 계정과목의 합계와 잔액을 한눈에 볼 수 있는 표야.보통 ‘총계정원장’ 기준으로 만들어지고,차변 합계 = 대변 합계여야 맞게 회계처리된 거지.📌 "차변 합계랑 대변 합계가 맞다고 해서 끝이 아니야!"→ 각 계정별 금액이 맞는지, 비정상적인 계정은 없는지 꼭 확인해야 해. ✅ 실무에서 꼭 체크해야 할 포인트 1. 차변/대변 합계가 똑같다고 안심하지 말기!잔액이 마이너스인 계정이 있다면?→ 분개 오류 or 대.. 2025. 4. 12. 퇴직급여충당부채? 퇴직급여? 이거 보면 헷갈릴 일 없음! (+회계 초보 실무 가이드) 💡 퇴직급여? 퇴직급여충당부채? 이게 도대체 뭐야?회계 실무를 하다 보면 퇴직급여랑 퇴직급여충당부채가 자주 등장하는데,"둘이 뭐가 다른 거야?" "어떻게 설정하는 거지?" 고민해본 적 있을걸?사수가 없어도! 인수인계를 못 받아도!이 글 하나만 보면 실무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쉽게 정리해봄! ✍️ ✅ 퇴직급여란?✔️ 직원이 퇴사할 때 지급하는 돈!✔️ 법적으로 1년 이상 근무한 직원이 퇴사할 때 받을 수 있음✔️ 퇴직금 계산 공식:👉 [(1일 평균임금) × (30일)] × (근속연수) 💡 예시로 쉽게 이해하기!5년 동안 근무한 직원의 1일 평균임금이 20만원이면?📌 200,000원 × 30일 × 5년 = 30,000,000원(퇴직급여)✅ 퇴직급여충당부채란?💡 퇴직금은 퇴사할 때 지급.. 2025. 3. 2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