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돈 쓰고 현금영수증 받아왔는데,
이걸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 몰라서 당황한 적 있어?
"법인카드도 아닌데 이거 어떻게 회계에 잡지?"
"현금으로 썼는데 증빙은 되는 거 맞지?"
이런 고민 해본 적 있으면 이 글 끝까지 꼭 읽어봐~!
✅ 현금영수증, 이게 뭔데?
현금영수증은 말 그대로 현금으로 결제한 거래에 대한 증빙이야.
카드처럼 세금계산서 대신 사용할 수 있고,
국세청에 자동으로 잡히는 전자증빙 자료로 인정받을 수 있어.
중요한 건, 개인번호(주민등록번호) 말고 사업자번호로 발급받는 것!
그래야 부가세 환급도 가능하고, 비용처리도 깔끔하게 돼.
✍️ 현금영수증 받을 때 체크할 것들
- 사업자등록번호로 발급받기 (꼭!)
- 결제일자, 금액, 공급가액+부가세 항목 확인
- 업종에 따라 매입세액 공제 가능여부 확인
💡 실무 예시로 쉽게 이해해보자!
[상황]
직원이 거래처 미팅하면서 식사비 33,000원을
현금으로 결제하고, 사업자번호로 현금영수증 발급받음.
[분개 예시]
💡여기서 포인트는?
현금으로 결제했지만, 증빙이 있다면 부가세 환급도 OK!
(단, 접대비는 원칙상 매입세액 공제 제외됨 – 회계처리만 참고!)
❌ 초보가 자주 하는 실수
- 사업자번호 대신 직원 개인 번호로 발급받음 → 부가세 환급 불가!
- 간이과세자한테 받은 현금영수증 → 공제 불가!
- 현금영수증 누락해서 비용처리 못함 → 세금 불이익 가능성 있음
- 비용계정 선택 헷갈림 (접대비? 복리후생비?)
💬 자주 묻는 질문 Q&A
Q. 직원이 사비로 결제하고 회사에 청구했는데, 현금영수증을 개인 번호로 받았어요. 어떻게 해요?
👉 공제 불가능. 가능하면 직원이 회사 번호로 재발급 요청해보자.
못 받을 경우는 부가세 없이 비용처리만 해.
Q. 택배비를 현금영수증으로 처리했어요. 부가세 공제되나요?
👉 일반과세자한테 받은 거고, 사업 관련이면 공제 가능!
Q. 현금영수증 없이 영수증만 있으면 증빙 될까?
👉 NO. 종이영수증은 증빙불인정이야. 꼭 전자자료로 남겨야 해.
🧾 실무 꿀팁
📌 국세청 홈택스 → 현금영수증조회 메뉴 활용해서
실시간으로 법인번호 기준 발급된 자료 확인할 수 있어!
회계팀은 분기별로 꼭 체크하면서 누락자료 없나 확인하자 :)
📌 자주 가는 음식점/거래처엔 아예 사업자번호 알려두기
"이 가게는 자동으로 우리 번호로 끊어줘요" 하면 진짜 편해져.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리후생비 vs 접대비] 계정 구분법 (0) | 2025.04.15 |
---|---|
🏭 제조업 원가계산, 왜 그렇게 복잡할까? 초보 회계 담당자를 위한 원가 흐름 쉽게 이해하기! (0) | 2025.04.15 |
🎯 법인카드 사용 시 유의사항과 분개 방법 (초보 경리 실무자용) (0) | 2025.04.14 |
🚗 차량유지비, 여비교통비, 주차비 계정 구분법 완전 정리! (0) | 2025.04.12 |
📊 합계잔액시산표? 이거 제대로 못 보면 진짜 큰일남! (0) | 2025.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