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회계

🏭 제조업 원가계산, 왜 그렇게 복잡할까? 초보 회계 담당자를 위한 원가 흐름 쉽게 이해하기!

by 호두엄마 2025. 4. 15.

 

 

 

📌 1. 제조업 원가구조, 왜 복잡할까?

제조업은 단순히 "사서 파는" 업종이 아니에요.
직접 만들어서 판매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그 과정 하나하나의 비용이 정확히 쪼개지고 기록되어야 하죠.

 

 

 

 

 

🔧 2. 원가계산의 기본 구성 3요소


직접재료비 제품 만들 때 직접 쓰는 재료 철, 원단, 플라스틱 등
직접노무비 제품 만드는 작업자의 급여 생산직 근로자 인건비
제조간접비 그 외 공장에서 드는 비용 전기세, 감가상각비, 공장장 급여 등

🧾 3. 실무에서는 이렇게 분류해요!

항목회계 계정 예시
재료 구입 차변: 원재료 / 대변: 보통예금
작업자 급여 차변: 직접노무비 / 대변: 예금 or 미지급금
공장 간접비 차변: 제조간접비 / 대변: 예금 or 발생 계정

📦 4. 원가흐름은 이렇게!

  1. 원재료 구입 → 원재료 계정
  2. 제조에 투입 → 재공품으로 이동
  3. 제조 완료 → 제품 계정으로 이동
  4. 판매 시점 → 제품 계정에서 매출원가로 전환

💡 5. 제조업 원가 흐름 분개 예시

 
1. 원재료 구입
차) 원재료 10,000 / 대) 보통예금 10,000
 
2. 원재료 투입
차) 재공품 10,000 / 대) 원재료 10,000
 
3. 직접노무비 발생
차) 재공품 5,000 / 대) 미지급금 5,000
 
4. 간접비 배부
차) 재공품 3,000 / 대) 제조간접비 3,000
 
5. 제품 완성
차) 제품 18,000 / 대) 재공품 18,000
 
6. 판매 시점
차) 매출원가 18,000 / 대) 제품 18,000
차) 외상매출금 30,000 / 대) 제품매출 30,000

🔍 실무에서 자주 하는 실수

  • 간접비를 일반 관리비로 처리함 (❌)
  • 재공품을 거치지 않고 바로 제품 계정으로 넘김 (❌)
  • 제품판매 전인데 매출원가 먼저 계상함 (❌)
  • 제조간접비를 모두 제조원가로 배부하지 않음 (❌)

📌 꿀팁 Q&A

Q1. 소규모 제조업도 재공품 계정 꼭 써야 하나요?

가능하면 사용하는 게 좋아요.
아니면 제품 계정에 직접 처리하더라도, 비용흐름을 구분해놓으면
세무조사나 원가분석 시 용이해요!

Q2. 제조간접비는 꼭 따로 관리해야 하나요?

네, 제품 하나 만들 때 숨은 원가가 제조간접비로 꽤 큽니다!
정확히 배부해줘야 정확한 원가 계산이 가능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