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제조업 원가구조, 왜 복잡할까?
제조업은 단순히 "사서 파는" 업종이 아니에요.
직접 만들어서 판매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그 과정 하나하나의 비용이 정확히 쪼개지고 기록되어야 하죠.
🔧 2. 원가계산의 기본 구성 3요소
직접재료비 | 제품 만들 때 직접 쓰는 재료 | 철, 원단, 플라스틱 등 |
직접노무비 | 제품 만드는 작업자의 급여 | 생산직 근로자 인건비 |
제조간접비 | 그 외 공장에서 드는 비용 | 전기세, 감가상각비, 공장장 급여 등 |
🧾 3. 실무에서는 이렇게 분류해요!
항목회계 계정 예시
재료 구입 | 차변: 원재료 / 대변: 보통예금 |
작업자 급여 | 차변: 직접노무비 / 대변: 예금 or 미지급금 |
공장 간접비 | 차변: 제조간접비 / 대변: 예금 or 발생 계정 |
📦 4. 원가흐름은 이렇게!
- 원재료 구입 → 원재료 계정
- 제조에 투입 → 재공품으로 이동
- 제조 완료 → 제품 계정으로 이동
- 판매 시점 → 제품 계정에서 매출원가로 전환
💡 5. 제조업 원가 흐름 분개 예시
1. 원재료 구입
차) 원재료 10,000 / 대) 보통예금 10,000
2. 원재료 투입
차) 재공품 10,000 / 대) 원재료 10,000
3. 직접노무비 발생
차) 재공품 5,000 / 대) 미지급금 5,000
4. 간접비 배부
차) 재공품 3,000 / 대) 제조간접비 3,000
5. 제품 완성
차) 제품 18,000 / 대) 재공품 18,000
6. 판매 시점
차) 매출원가 18,000 / 대) 제품 18,000
차) 외상매출금 30,000 / 대) 제품매출 30,000
🔍 실무에서 자주 하는 실수
- 간접비를 일반 관리비로 처리함 (❌)
- 재공품을 거치지 않고 바로 제품 계정으로 넘김 (❌)
- 제품판매 전인데 매출원가 먼저 계상함 (❌)
- 제조간접비를 모두 제조원가로 배부하지 않음 (❌)
📌 꿀팁 Q&A
Q1. 소규모 제조업도 재공품 계정 꼭 써야 하나요?
가능하면 사용하는 게 좋아요.
아니면 제품 계정에 직접 처리하더라도, 비용흐름을 구분해놓으면
세무조사나 원가분석 시 용이해요!
Q2. 제조간접비는 꼭 따로 관리해야 하나요?
네, 제품 하나 만들 때 숨은 원가가 제조간접비로 꽤 큽니다!
정확히 배부해줘야 정확한 원가 계산이 가능해요.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리후생비 vs 접대비] 계정 구분법 (0) | 2025.04.15 |
---|---|
💳 현금영수증 처리방법 완전정리! 회계 초보도 실수 없이 하는 법 알려줄게 :) (1) | 2025.04.14 |
🎯 법인카드 사용 시 유의사항과 분개 방법 (초보 경리 실무자용) (0) | 2025.04.14 |
🚗 차량유지비, 여비교통비, 주차비 계정 구분법 완전 정리! (0) | 2025.04.12 |
📊 합계잔액시산표? 이거 제대로 못 보면 진짜 큰일남! (0) | 2025.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