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회계기초12

퇴직급여충당부채? 퇴직급여? 이거 보면 헷갈릴 일 없음! (+회계 초보 실무 가이드) 💡 퇴직급여? 퇴직급여충당부채? 이게 도대체 뭐야?회계 실무를 하다 보면 퇴직급여랑 퇴직급여충당부채가 자주 등장하는데,"둘이 뭐가 다른 거야?" "어떻게 설정하는 거지?" 고민해본 적 있을걸?사수가 없어도! 인수인계를 못 받아도!이 글 하나만 보면 실무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쉽게 정리해봄! ✍️      ✅ 퇴직급여란?✔️ 직원이 퇴사할 때 지급하는 돈!✔️ 법적으로 1년 이상 근무한 직원이 퇴사할 때 받을 수 있음✔️ 퇴직금 계산 공식:👉 [(1일 평균임금) × (30일)] × (근속연수) 💡 예시로 쉽게 이해하기!5년 동안 근무한 직원의 1일 평균임금이 20만원이면?📌 200,000원 × 30일 × 5년 = 30,000,000원(퇴직급여)✅ 퇴직급여충당부채란?💡 퇴직금은 퇴사할 때 지급.. 2025. 3. 20.
당기감가충당금? 원당기감가충당금? 이거 보면 바로 이해됨! (ft. 회계 신입 필독🔥) 🙋‍♀️ 당기감가충당금 vs 원당기감가충당금, 뭐가 다른 거야?회계 처음 시작하면 당기감가충당금이랑 원당기감가충당금,이게 뭐가 다른 건지 헷갈릴 수밖에 없음! 😵‍💫그런데 막상 개념만 제대로 이해하면 별거 아님!오늘 이 글 보고 바로 실무에 적용해보자! 💡      📌 당기감가충당금이 뭐야? ✔️ 개념부터 이해하기👉 당기감가충당금은 올해(당기)에 발생한 감가상각을 반영하는 금액이야.쉽게 말하면, 올해 내가 사용한 만큼 자산 가치가 줄어든 걸 반영하는 거지!✔️ 예시로 이해해보자!100만 원짜리 컴퓨터를 샀는데, 감가상각비를 5년 동안 나눠서 적용한다고 해보자.그럼 1년 동안 감가상각되는 금액은 20만 원!이 20만 원을 당기감가충당금으로 반영하는 거야.✔️ 분개는 이렇게 하면 됨!차변: 감가상.. 2025. 3. 20.
재고와 매출원가, 이렇게 이해하면 쉽지! 업종별 공식까지 정리완료 ! 재고랑 매출원가는 회계에서 중요한 개념인데, 초보자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기도 해.그래서 오늘은 재고와 매출원가에 대해 쉽게 설명하고, 업종별로 중요한 공식이나 업무 메뉴얼도 알려줄게.마지막엔 분개 예시도 넣었으니까 실무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을 거야!      1. 재고랑 매출원가가 뭐지?재고는 말 그대로 아직 팔지 않은 상품, 원재료, 완성품 같은 거야. 쉽게 말하면 팔 준비가 된 자산인 거지.매출원가는 그 제품을 만들거나 팔기 위해 드는 직접적인 비용이야. 예를 들어, 제품을 생산하거나 구입할 때 발생하는 비용이지.2. 업종별 재고 관리 공식a. 제조업재고 관리 공식:초기 재고 + 매입 - 매출 = 기말 재고제조업은 원재료, 재공품, 완성품으로 나누어서 관리해야 해.업무 메뉴얼:원재료는 제품을 .. 2025. 3. 19.
선급금 vs 선수금 vs 선급비용, 헷갈리지 않게 정리해보자! 💡 회계를 하다 보면 선급금, 선수금, 선급비용이 헷갈리는 경우가 많아.비슷해 보이지만 의미가 다르니까, 오늘은 진짜 쉽게 설명해볼게!분개 예시도 넣었으니까 끝까지 읽어봐! 😉      1. 선급금(Prepaid Payment)이란? 💰선급금은 우리가 물건이나 서비스를 받기 전에 미리 돈을 지급한 경우야.쉽게 말하면, 돈부터 내고 나중에 받을 게 남아있는 상태라고 보면 돼. 📌 예시:회사에서 새 복사기를 구매하면서 계약금 200만 원을 먼저 지급 → "선급금" 처리3개월 뒤 사용할 광고비를 미리 납부 → "선급금" 처리✅ 회계처리 (분개 예시)복사기 계약금을 지급한 경우차변: 선급금 2,000,000원 / 대변: 보통예금 2,000,000원복사기를 실제로 받을 때 (선급금 정리)차변: 기계장치 2,00.. 2025. 3. 19.
📌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는 외부감사 준비법] 갓 입사한 초보자가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팁 안녕하세요! 오늘은 외부감사에 대해 이야기해볼게요.처음 회계 업무를 맡고 상사에게 배우기 어려운 상황이라면외부감사 준비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잘 모르실 수 있어요. 그래서 오늘은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는 외부감사 준비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해요.호두엄마가 단계별로 차근차근 준비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할게요!      1️⃣ 외부감사란? 쉽게 알아보기 💡먼저, 외부감사가 무엇인지 간단히 설명해볼게요.외부감사란, 회사의 재무제표나 회계 기록을 독립된 회계사나 감사법인이 검토하는 절차를 말해요.회사의 재정 상황이 정확하게 기록되고 법적 기준에 맞게 보고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이에요.예시:회사 A는 매년 외부감사를 받아야 하는 상장 기업이에요.외부감사인들이 A회사의 재무제표를 확인하면서, 모든 거래가 정확히 기록.. 2025. 3. 18.
📌 [회계 기초] 대손상각비와 대손충당금 쉽게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대손상각비와 대손충당금에 대해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회계를 처음 접하는 분들도 걱정하지 마세요.호두엄마와 지금부터 천천히 하나씩 알아볼게요! 😊       1️⃣ 대손(貸損)이란? 🤔먼저 대손이 뭔지 알아볼게요.대손은 외상으로 팔고 돈을 못 받을 가능성이 있는 상황을 말해요.예를 들어, 거래처가 부도가 나거나, 우리가 기대한 대로 돈을 못 받을 때죠. 💡 예시를 들어볼게요!A 회사는 C 회사에 500만 원어치 물건을 외상으로 팔았어요.그런데 C 회사가 갑자기 사업을 접게 되어, 더 이상 돈을 받을 수 없는 상황이 생겼어요.이때, A 회사가 받지 못할 500만 원은 대손이 된 거예요.이제 이 대손을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요?2️⃣ 대손상각비란? 💸대손상각비는 실제로 못 받은 돈을 .. 2025. 3.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