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회계기초16

🏭 제조업 원가계산, 왜 그렇게 복잡할까? 초보 회계 담당자를 위한 원가 흐름 쉽게 이해하기! 📌 1. 제조업 원가구조, 왜 복잡할까?제조업은 단순히 "사서 파는" 업종이 아니에요.직접 만들어서 판매하는 구조이기 때문에,그 과정 하나하나의 비용이 정확히 쪼개지고 기록되어야 하죠. 🔧 2. 원가계산의 기본 구성 3요소직접재료비제품 만들 때 직접 쓰는 재료철, 원단, 플라스틱 등직접노무비제품 만드는 작업자의 급여생산직 근로자 인건비제조간접비그 외 공장에서 드는 비용전기세, 감가상각비, 공장장 급여 등🧾 3. 실무에서는 이렇게 분류해요!항목회계 계정 예시재료 구입차변: 원재료 / 대변: 보통예금작업자 급여차변: 직접노무비 / 대변: 예금 or 미지급금공장 간접비차변: 제조간접비 / 대변: 예금 or 발생 계정📦 4. 원가흐름은 이렇게!원재료 구입 → 원재료 계정제조에 투입 → 재공품으로 .. 2025. 4. 15.
💳 현금영수증 처리방법 완전정리! 회계 초보도 실수 없이 하는 법 알려줄게 :) 회사 돈 쓰고 현금영수증 받아왔는데,이걸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 몰라서 당황한 적 있어? "법인카드도 아닌데 이거 어떻게 회계에 잡지?""현금으로 썼는데 증빙은 되는 거 맞지?"이런 고민 해본 적 있으면 이 글 끝까지 꼭 읽어봐~!    ✅ 현금영수증, 이게 뭔데?현금영수증은 말 그대로 현금으로 결제한 거래에 대한 증빙이야.카드처럼 세금계산서 대신 사용할 수 있고,국세청에 자동으로 잡히는 전자증빙 자료로 인정받을 수 있어.중요한 건, 개인번호(주민등록번호) 말고 사업자번호로 발급받는 것!그래야 부가세 환급도 가능하고, 비용처리도 깔끔하게 돼.✍️ 현금영수증 받을 때 체크할 것들사업자등록번호로 발급받기 (꼭!)결제일자, 금액, 공급가액+부가세 항목 확인업종에 따라 매입세액 공제 가능여부 확인💡 실무 예시.. 2025. 4. 14.
📊 합계잔액시산표? 이거 제대로 못 보면 진짜 큰일남! 안녕~ 오늘은 실무에서 은근히 놓치기 쉬운 합계잔액시산표에 대해서 얘기해볼게!혹시 요거 그냥 숫자 잘 맞네 하고 넘기고 있진 않아?잘못된 잔액, 잘못된 분개... 결국 결산 오류로 이어질 수 있어.그러니까 오늘은 "진짜 실무에서 뭘 봐야 하는지" 알려줄게!      🧾 합계잔액시산표란?말 그대로 전체 계정과목의 합계와 잔액을 한눈에 볼 수 있는 표야.보통 ‘총계정원장’ 기준으로 만들어지고,차변 합계 = 대변 합계여야 맞게 회계처리된 거지.📌 "차변 합계랑 대변 합계가 맞다고 해서 끝이 아니야!"→ 각 계정별 금액이 맞는지, 비정상적인 계정은 없는지 꼭 확인해야 해. ✅ 실무에서 꼭 체크해야 할 포인트 1. 차변/대변 합계가 똑같다고 안심하지 말기!잔액이 마이너스인 계정이 있다면?→ 분개 오류 or 대.. 2025. 4. 12.
💸 미수금 상계처리 실무, 헷갈린다면 이 글 하나로 정리 끝! 안녕~오늘은 회계 실무에서 자주 마주치는미수금 상계처리에 대해 정리해볼게!분개도 헷갈리고, 자주 틀리는 부분도 많아서초보 경리들이 실수하기 딱 좋은 파트지.하나씩 예시랑 꿀팁으로 설명해줄게 😊     🧐 미수금? 미지급금? 외상매출금? 뭐가 달라?기본부터 짚고 가자!미수금: 상품 외 거래에서 받을 돈 → 예: 임직원에게 빌려준 돈, 임대보증금, 환급금 등미지급금: 상품 외 거래에서 줘야 할 돈 → 예: 사무용품 외상 구입, 법인카드 선결제 등외상매출금: 상품 판매 후 아직 돈 못 받은 거래처 외상대금외상매입금: 상품 구입 후 아직 돈 안 준 거래처 외상대금💡 외상은 ‘상품 거래’일 때 쓰고,미수금/미지급금은 비상품 거래일 때 쓴다!💡 그럼 미수금 상계처리는 언제 써?예를 들어볼게.✅ 예시 1: 직.. 2025. 4. 12.
퇴직급여충당부채? 퇴직급여? 이거 보면 헷갈릴 일 없음! (+회계 초보 실무 가이드) 💡 퇴직급여? 퇴직급여충당부채? 이게 도대체 뭐야?회계 실무를 하다 보면 퇴직급여랑 퇴직급여충당부채가 자주 등장하는데,"둘이 뭐가 다른 거야?" "어떻게 설정하는 거지?" 고민해본 적 있을걸?사수가 없어도! 인수인계를 못 받아도!이 글 하나만 보면 실무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쉽게 정리해봄! ✍️      ✅ 퇴직급여란?✔️ 직원이 퇴사할 때 지급하는 돈!✔️ 법적으로 1년 이상 근무한 직원이 퇴사할 때 받을 수 있음✔️ 퇴직금 계산 공식:👉 [(1일 평균임금) × (30일)] × (근속연수) 💡 예시로 쉽게 이해하기!5년 동안 근무한 직원의 1일 평균임금이 20만원이면?📌 200,000원 × 30일 × 5년 = 30,000,000원(퇴직급여)✅ 퇴직급여충당부채란?💡 퇴직금은 퇴사할 때 지급.. 2025. 3. 20.
당기감가충당금? 원당기감가충당금? 이거 보면 바로 이해됨! (ft. 회계 신입 필독🔥) 🙋‍♀️ 당기감가충당금 vs 원당기감가충당금, 뭐가 다른 거야?회계 처음 시작하면 당기감가충당금이랑 원당기감가충당금,이게 뭐가 다른 건지 헷갈릴 수밖에 없음! 😵‍💫그런데 막상 개념만 제대로 이해하면 별거 아님!오늘 이 글 보고 바로 실무에 적용해보자! 💡      📌 당기감가충당금이 뭐야? ✔️ 개념부터 이해하기👉 당기감가충당금은 올해(당기)에 발생한 감가상각을 반영하는 금액이야.쉽게 말하면, 올해 내가 사용한 만큼 자산 가치가 줄어든 걸 반영하는 거지!✔️ 예시로 이해해보자!100만 원짜리 컴퓨터를 샀는데, 감가상각비를 5년 동안 나눠서 적용한다고 해보자.그럼 1년 동안 감가상각되는 금액은 20만 원!이 20만 원을 당기감가충당금으로 반영하는 거야.✔️ 분개는 이렇게 하면 됨!차변: 감가상.. 2025. 3. 20.